본문 바로가기
  • 디트맨의 정형외과 이야기
정형외과/스포츠 의학 공부

챕터5_통증(왜 그리고 어떻게 아프게 되는가)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by 디트맨 2025. 8. 16.
반응형

1권의 Chapter 5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뒤에 나올 Chapter 6와 함께, 통증에 대한 총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통증의 원인 및 기전에 대해서 설명하는 기초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이라, 오히려 더 생소하고 이해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임상에서 크게 도움이 된다는 느낌은 크지 않습니다만, 시험에는 꽤나 자주 출제되는 편입니다. 

 

시험 목적으로 제작된 요약본은 아니므로, 지나치게 내용이 자세할 수 있습니다.

시험 목적으로 제 글을 읽으신다면, 빨간색 글자 및 형광펜 표시 글자로 강조한 내용을 위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중요도는 볼드체(중요 내용) < 파란 볼드체(기출) < 빨간 볼드체(기출 다수) < 형광펜 볼드체(2025 기출) 순입니다.

 

 

 


 

1. 통증에 대한 2가지 관점 (대뇌의 보호 기전 vs 조직 손상의 지표, 아래 표가 매우 중요)

→ 대뇌 보호 기전 = 뇌에서 인식하는 것에 초점.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느낌.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통각 수용기 활성 없이도 발생.

→ 조직 손상의 지표 =  통각 수용기 활성화을 통해 조직 손상을 인지하는 것임.

 

 

최근에는 조직 손상 정도로서의 통증을 바라보는 관점보다는 대뇌 보호 기전으로서의 통증을 바라보는 관점이 부각됨,

 

2. 통증의 전달 과정

 

 

 

(1) 통각 수용기 = 유해 자극( 기계적 자극, 온도의 자극, 화학 물질)을 느낌

 

(2) 통각 수용기에서 척추의 통각 수용체까지 전달

- Aa fiber(non-noxious mechanical stimulus, 빠름), Ad fiber(noxious mechanical stimulus), C fiber(noxious heat and chemical, 느림)

- 칼에 비었을때: 초기에 날카로운 통증 → 이후 둔통, 통각 경로가 다르게 도달. 열 및 기계적 자극은 부위가 명확하게 인식되며 빠르다. 다중형 통각기(염증)는 불명확하게 인식하고 느리다.

 

< Pain sensitization2가지 기전>

ⓐ Primary nociceptor sensitization(peripheral sensitization)

= 1차 통각 수용체가 화학적 자극물에 의한 조직 손상으로 예민해져서 발생함

= 유발되지 않은 자극에도 반응을 하며, 작은 자극에도 큰 통증이 생긴다. 특징적으로 화학 물질에 의한 혈관 확장으로 피부가 붉게 된다. Ex) 일광 화상 후에 저온 샤워로도 통증 느낌.

 

ⓑ Spinal nociceptor sensitization (central sensitization)

= 척수 후각이나 뇌에서 통증 신호 처리가 과도하게 활성화. 기계적 자극에는 민감화, 온도에 대해서는 민감화(X).

= 손상 부위보다 넓은 기계적 말초 예민화. 척수 유해자극 입력에 대해서 상향 조절이 되어, 통증 역치를 감소시킴. 장기간의 통증 자극으로 인해서 통증 역치 낮아짐.

 

(3) 뇌의 결정(강조): 통증이 뇌로 전달되서 위험성을 평가하고 행동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과정

 

- 대뇌피질 대응부(central representation) 및 신경 꼬리표(neuro-tag)

= 단순한 통증 자극이 대뇌로 입력되어, 복잡한 신경 생리학적 대응(운동능력, 재활)하게 만듬.

= 발목을 삐끗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슷한 상황(: 계단을 내려갈 때)에 다시 통증을 느낀다면, 이는 단순한 말초 자극 때문이 아니라 과거의 neuro-tag가 재활성화.

 

(4) 대뇌에 의한 척수신경 조절

- 대뇌에서 척수의 통각 수용체로 보내지는 수백 가지의 방사(projection) 존재 + 방사는 촉진과 억제 작용 모두를 할 수 있음. 중추 민감화에 해당

- 위험에 대한 정보(Neuro-tag의 활성과 연관되는 정보)와 척수의 통각 수용체에 입력된 것이 다르면, 통각 수용체의 촉진과 억제 작용을 통해 척수 조절. 대뇌와 척수의 통각 수용체 사이를 중개하는 것은 뇌간(비교 측정기).

- 1차 통각 수용체 활성 없이, 대뇌에서 척수의 통각 수용체를 과도촉진하면, 말초에서 신경성 염증이 발생. 말초 민감화의 일종.

 

* 시험 위해서는 강조 표시된 것만 알면 되는 챕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