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트맨의 정형외과 이야기
정형외과/스포츠 의학 공부

특정 스포츠 종목의 생체 역학 (챕터9)

by 디트맨 2025. 8. 23.
반응형

 1권의 9번째 단원입니다. 여러 종목의 생체 역학적 측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8번째 단원에서 배운 원칙을 각 종목에 적용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챕터8의 내용에 비해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측면이 많았던 단원으로 기억합니다. 운동 선수 환자 또는 일반 환자분들을 진료할 때, 스포츠 종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료를 하면 큰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이클, 골프, 조정, 수영, 테니스 등의 종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 개론에 해당하는 챕터 8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5.08.23 - [정형외과/스포츠 의학 공부] - 임상적 생체 역학의 입문(챕터8)

 

임상적 생체 역학의 입문(챕터8)

1권의 8번째 단원으로 생체 역학으로 번역되는 Biomechanics에 대한 개론을 소개하는 단원입니다. 이어지는 9번째 단원에선 각 종목의 생체 역학적인 측면을 다루므로, 같이 공부하시면 좋다고 생각

mrna.tistory.com

 

 

 

 


1. 사이클

 

(1) 슬개 대퇴 통증(PFJ)

-  외적 요소(자전거 및 신발, 페달 위치)

내적 요소(해부학적 비정상, 잘못된 기술), 훈련 및 시합 관련

-  통증 원인 3가지: 낮은 안장 높이(PFJ 압박↑: 30도 권장), 슬관절외반 자세(= 과도 내측 무릎 동작: 깔창으로 조절), 무릎에서의 토크(신발이 페달에 고정되어 무릎에 영향을 줌: 편평한 페달로 교체)

 

(2) 장경 인대 증후군 (ITBS, Runners knee)

- 내적 요소( LLD ↑, 20도 이상의 Tibia external rotation, over-pronation)

- 외적 요소(높은 안장, 부적절한 발의 위치(in-toing), 슬관절외반 자세)

- 임상적인 팁: 낮은 안장을 사용(최대 40도까지), 약간 out-toing하게 위치, 무릎의 고도 내측 동작(외반 자세)을 피함.

 

(3) 요통: 요추에서 더 굽은 자세(요추 과굴곡, 흉추 신전, 골반 경사 작음)일 때 요통 심함. → 척추를 균등하게 굴곡 + 골반 전방 경사 증가, 안장을 낮추고, 핸들바를 높임. (자전거 맞춤: bike fitting)

 

 

2. 골프: 과사용 손상이 많은 종목. 운동 사슬(챕터8 참고)에서 하나가 결핍시 다른 것이 보상하면서 부상으로 이어짐.

 

(1) 이끄는 손목(요측 → 척측): 스윙 시 척측 이동하면서, 유구골 돌기 골절(클럽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및 척측 손목 통증 발생.

 

(2) 이끌리는 손목(신전 → 굴곡) : 이끄는 손목보다는 부상 적음. 과신전으로 인한 연부 조직 충돌로 인해 등가장자리 임팩트 증후군(dorsal rim impaction syndrome) 발생.

 

(3) 어깨 통증( 주도하는 어깨 : 던지는 동작과 거의 완전히 반대 기전으로 이해)

: 백 스윙 과정에서 후방 관절낭 이완(전방 관절낭 긴장)이 발생하여, 상완 골두가 후방으로 전위됨.

: 이로 인해, 후방 관절와순에 압박 및 후방 불안정성 발생 (백 스윙의 정점에서 딱하는 소리 및 통증 같은 불편감 호소)

 

(4) 회전 속도가 빠른 주도하는 고관절에서 부상 많이 발생함. 고관절 내회전의 극대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함.

 

(5) 젊은 나이에서 역C자 허리로 척추분리증으로 인한 허리 통증 발생 가능. 

 

 

 

 

3. 조정

 

(1) 허리 통증 = 고양이 자세 단계에서 골반 후방 전이 및 마무리 단계에서 요추 과굴곡이 되면 잘못된 자세라고 판단. 바이오 피드백 등을 통해서 자세 교정 필요함. 

 

 

(2) 흉벽 통증 =  4-8번 전측부 늑골 압박 골절, 과도한 훈련량 및 흉추저운동성이 원인

 

(3) 손목/전완 = 전완근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발생, 교차점 증후군이 대표적.

 

 

4. 수영: 상체의 과사용 손상이 많은 종목

 

(1) 부상 원인: 훈련량 급격한 증가, 한 방향 호흡, 견인기 동안 손이 중간 선을 가로지를 때, 견인력 향상 도구 사용, 어깨 부상 병력.

 

(2) 진찰: 내회전 상태에서 외전 검사(N: 150-170), 복합 올리기 검사(N: 5-15)

 

(3) 자유형 팔 젓기 4단계: 입수기 → 뻗기/미끄러지기 → 견인기 → 회복기

입수기: 엄지를 먼저 넣는 과도한 내회전, midline을 넘음, 몸통의 측면 이탈, 견갑골 불충분 상향 회전

견인기: 쳐진 팔꿈치(팔꿈치가 먼저 이동), midline을 넘음, 비효율적 및 과도한 몸통 돌리기

-  회복기: 과도한 수평 외전 및 후방 회전근개 충돌, 한 방향 호흡

-  통증 시 피할 훈련: 손물갈퀴, 부표 당기기, 어깨 최대 신전 상대로 킥보드 이용.

 

(4) 내측 무릎 통증: 평영. 내측 측부인대과사용 손상.

 

5. 테니스

 

(1) 외측 팔꿈치 통증(테니스 엘보우): 손목 신전근 원심성 수축(늘어나면서 수축), 한 손 백핸드 동작에서 더 호발. 라켓 그립도 원인.

 

(2) 어깨 부상: 서브할 때 어깨 과부하 → 내적 충돌, 회전 근개 및 이두근건염, 관절와순 부상.

 

-  부상 메커니즘 (1): 코킹 단계에서 구심성 수축, 마무리 단계에서 빠른 원심성 수축 → 반복되면 근피로 및 원심성 결함. → 압박이 심해지면, 코킹 단계에서 후상방 가장 자리를 압박 → 외회전 + 외전 최대  내적 충돌

 

-  부상 메커니즘 (2): 운동 사슬 내에서 부적절한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지의 과부하가 걸림. 캐치업현상  → 나쁜 사슬 시사: 불충분 무릎 구부림 + 부적합한 회전 + 탑재 단계에서 부적합한 어깨와 골반 기울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