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의 Chapter 6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앞에서 정리한 Chapter5와 함께 이해하면 좋은 내용입니다. 겹치는 내용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2025년 시험에 많이 출제되었으며, 생소한 문제가 꽤 나왔던 chapter 중에 하나입니다. 참고하시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입력지배성 통증과 중추지배성 통증의 차이를 이해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통증 등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 목적으로 제작된 요약본은 아니므로, 지나치게 내용이 자세할 수 있습니다.
시험 목적으로 제 글을 읽으신다면, 빨간색 글자 및 형광펜 표시 글자로 강조한 내용을 위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중요도는 볼드체(중요 내용) < 파란 볼드체(기출) < 빨간 볼드체(기출 다수) < 형광펜 볼드체(2025 기출) 순입니다.
1. 입력 지배성 통증: 통각이 주로 기여하는 통증, 통각 수용체를 자극하는 말초 감각 정보가 입력 자극.
(1) 손상 후 급성 통증: 통각 분포와 연관되어 나타남. 손상이나 재생 과정과 연결됨. 손상 및 구심 자극(손상에 대한 인식 자극), 통증 간의 상호 관계는 예측 불가하고 비선형적임.
Ex> 발목 염좌시 초기에 구심 자극이 위험을 과장.
(2) 연관통(Referred pain): 대뇌가 다친 부위 인지 과정에서 착오(error), 위험한 사건이 일어난 부위를 뇌에서 오독(misread).
Ex> 심장 손상 시에 왼쪽 팔 통증으로 느낌, 환상통. Myofascial pain syndrome에서 승모근에 이상(강직)이 있음에도 우측 어깨 통증을 호소, 햄스트링 근육의 연관통, 호소하는 통증 부위를 검사했을 때 정상인 경우.
(2-1) 척수 신경근 연관통(Radicular pain): Radiculopathy 자체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한 종류.
- 신경근 압박과 자극으로 통증 발생 → Dermatome을 따라 좁은 띠 모양으로 예리하고 찌릿한 통증(전격통) → 해당 피부 분절 분포를 따라서 감각이상, 근육 분절과 일치하는 근력 약화 소견 동반. 신경근 및 후근 신경절(DRG)의 자극으로 정상적인 지배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음.
(2-2) 체성 연관통(Somatic pain)
- 파괴된 전달체계로가 중추신경계 내에서 발생. 심장 문제로 발생하는 왼쪽 팔의 통증의 경우, 내장과 근골격계의 구심성 수렴 (convergence)로 인해 체성 연관통이 나타남.
- 면역기전으로 인해서 반대쪽의 척수 통각 수용체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면 거울 통증(mirror pain)이 가능. Myofascial pain syndrome도 체성 연관통에 해당함.
- 특징: 통증 경계 불분명, 통증 부위 이동 가능, 통증 표현은 사람 마다 다양. 지속적인 통증 시에는 대퇴 피질의 억제 기전이 망가지기 때문에, 체성 연관통의 모호함은 점점 증가.
(3) 신경병증성 통증(입력 지배성(당뇨, 신경근병증) + 중추 지배성(척수 외상)): 신경계 자체의 손상이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
→ 감각 신경 말단을 자극하지 않고도 활동 전위 발생하여 통증이 생김. 외상으로 인한 염증으로 통각 수용체 활성화.
→ 화끈거림(작열통), 찌릿함(전격통), 심부에서 쑤시는 느낌(동통성), 감각 소실과 저림, 따끔거림.
2. 중추 지배성 통증: 중추신경계(척수, 뇌)의 병변이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 → 말초의 자극이 없이도 통증을 경험.
(1) 중추성 민감화: 통증 지속되는 경우, 통증과 조직 손상 간 관계가 강하지 않다. 손상 후 통증이 정상보다 오래되면 의심(하행 조절 경로가 흥분 상태로 전환).
(2) 과민성의 보호 효과: 발목 염좌 같은 손상 이후에 발생한 과민성으로 조직 치유 기회를 제공. 지속적인 과다 경계는 삶의 질을 저하. 인지에 대한 교육이 통증에 도움이 될 수 있음.
(3) 임상 양상
- 이질 통증(allodynia): 비-유해성 자극이 통증을 유발. 보호의 기전일 수 있으나, 지속적 통증의 원인일 수 있다. 신체 진찰이 도움.
- 두점 식별능 상실
- 통증 언어: 다 아프다고 표현.
- 추위에 민감
- 손상 부위에서 먼 곳을 눌러도 압통(이차성 통각 과민): 일차성 통각 과민은 말초 민감화. 통각 과민 측정용 압력 통증계가 도움.
- 근막통증후군이나 섬유근통 같은 복수 진단
- 적신호, 외상 사건의 과거력이나 불안/우울 상태 포함
- 주기성 또는 게절성 발현(부하나 기계적 자극과는 무관)
3. 감각 과정과 통증 보고
기능 중 통증: 시각 부호 척도, 수치 평정척도, 다각적 기술 용어(McGill), 진단용 특정 설문지
'정형외과 > 스포츠 의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 스포츠 종목의 생체 역학 (챕터9) (2) | 2025.08.23 |
---|---|
임상적 생체 역학의 입문(챕터8) (0) | 2025.08.23 |
스포츠 손상과 유사한 상황들(챕터7) (2) | 2025.08.22 |
챕터5_통증(왜 그리고 어떻게 아프게 되는가)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4) | 2025.08.16 |
챕터4_스포츠 과사용 손상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13) | 2025.08.14 |
챕터3_급성기 스포츠 손상 총론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8) | 2025.08.14 |
챕터2_공동 의사 결정을 위한 근거 통합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14) | 2025.08.13 |
챕터1_스포츠 의학(팀 접근법)_스포츠 의학 교과서 정리 (12) | 2025.08.12 |